2013년 5월 2일 목요일

질환별 입 냄새 특징





질환별 입 냄새 특징
1. 아세톤이나 과일 향 비슷한 입 냄새가 난다.
당뇨병이 있으면 내분비 장애로 인슐린이분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탄수화물 분해 능력이 떨어지고 지방대사가 활성화되는데, 이때 아세톤 성분이 배출된다. 이것이 폐를 통해서 입과 코로 배출되는데, 이 때 아세톤 냄새나 과일 향 비슷한 냄새가 난다.
2. 암모니아 냄새, 생선 비랜내가 난다.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배설이 제 때 빨리 안 돼 타액 속 요소 농도가 증가한다.
타액 요소 중 일부가 암모니아로 변해 냄새를 풍기게 되는데, 생선 비린내와 비슷한 냄새가 나기도 한다.
3. 코와 입으로 냄새가 올라온다.
편도선 염증이 자주 반복되거나 심하면  편도에 결석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때 심한 악취가 코와 입으로 올라오기도한다.
4. 머리가 아플정도로 악취가 난다.
코를 중심으로 뺨 안쪽에 있는 부비동에 염증이 생기면 고름 등 점액성 물질이 생성된다.
이것이 침을 삼키거나 숨을 쉴 때마다 조금씩 혀 뒷부분에 묻어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고약한 입 냄새를 유발한다.
5. 계란 썩는 냄새가 난다.
간 기능이 좋지 않은 사람은 "메르캅탄" 이라는 황화합물이 배설시키지 못하고 일부가 쌓여서 폐를 통해 입과 코로 배출이 되는 경우가 있다. 간경화, 만성간염 등 간 기능이 떨어지는 사람은 계란 썩는 냄새와 유사한 지독한 입 냄새를 풍긴다.

출처 : 인산의학 수테크 2011 3/4

죽염으로 양치질을 하면 입냄새 제거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양치질용 죽염은 한번구운 죽염과 세번구운 죽염이 적당합니다.
죽염을 칫솔에 발라서 양치질 하듯이 해주면 됩니다.






한번 구운 다용도죽염
천일염 100%




세번 구운 생활죽염
천일염 100%





              바이오이숍 www.bioeshop.com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