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9월 6일 일요일

누에치기 계획

일반적으로, 양잠은 뽕나무를 가꾸고 누에를 쳐서 누에고치를 생산하는 하나의 농업 산업이다. 양잠으로 높은 소득을 올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켜 값싸고 품질 좋은 누에고치를 생산하여야 한다.



1. 누에치기 계획수립



누에치기 계획 수립에 있어서는 누에를 치는 시기, 누에 치는 양 및 누에 품종을 잘 선택해야 한다.



1) 누에 치는 시기 및 횟수 결정

누에를 잘 치기 위해서는 우선 누에 치는 시기를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 나라 농가에서는 뽕나무에 뽕잎이 달려 있는 봅부터 늦가을까지 언제든지 누에를 칠 수 있지만, 관행적으로 봄누에 때와 가을누에 때에 연 2회를 치고 있다. 그러나 양잠 규모가 큰 농가에서는 양잠 경영상 연 3회 이상 치는 여러 번 치기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2) 누에 치는 양의 결정

누에 치기 시기 결정과 동시에 중요한 것은 누에 치는 양을 결정하는 일이다. 뽕밭의 뽕잎 수확 가능량, 노동력 및 누엣간 등 누에치기 시설을 고려해서 이에 알맞게 누에 치는 양을 결정해야 한다.



2. 뽕밭의 뽕잎 수확 가능량



뽕밭의 뽕잎 수확량은 뽕나무를 심은 연도, 뽕밭 관리 상태, 뽕나무 품종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누에를 치기 전에 미리 뽕밭의 뽕잎 수확 가능량을 조사해서 이에 알맞게 누에 치는 알을 결정해야 한다.



3. 노동력



양잠을 다른 작물과 결합을 하는 양잠 복합 경영 농가에서는 뽕잎이나 노동력도 자급자족할 수 있는 정도에서 누에 치는 알을 결정한다.

그러나 노동력 고용이 가능한 경우에는 5령 한밥 때부터 누에 올릴 때까지 노동력을 고용하는 것을 감안해서 누에 치는 양을 결정해도 좋다.

양잠은 고치 생산비 중에서 노동비가 60% 이상 차지하는 노동 집약적인 농업 산업이다. 누에 치는 과정에서 작업별 노동 시간 구성비를 보면, 뽕 따는 작업, 뽕 주는 작업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누에의 치는 과정 중에서 특히 뽕 따는 작업과 뽕 주는 작업을 생력화한다면 누에 치는 양을 늘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 사람이 누에를 칠 수 있는 양은 보통치기의 경우에 1 상자 정도, 가지뽕치기의 경우에 3~5상자 정도이다.



4. 누에치기 시설



누에의 치는 양은 누엣간, 누에 연모를 고려해서 결정해야 한다.



1) 누엣간

농가에서 양잠을 하는 데 있어서 누엣간은 뽕밭과 같이 가장 필수적인 경영 요소이다. 따라서, 누엣간은 누에를 치는 데 가장 필수적인 경영 요소이다. 따라서, 누엣간은 누에를 치는 데 가장 필수적인 시설로서 누엣간을 짓는 건축비가 적게 들어야 하고, 누에 치는 환경을 알맞게 조절할 수 잇는 보온 시설이 있어야 하며, 작업에 편리한 구조이어야 한다.

누엣간은 주택 겸용 누엣간과 전용 누엣간으로 나누고, 다시 전용 누엣간은 보통 누엣간과 간이 누엣간으로 나눈다.

우리 나라 농가에서는 누엣간의 축조비를 줄이기 위해 간이 누엣간을 지어 사용하고 있으나, 학교나 연구 기관에서 누에를 소량으로 치는 경우에는 누엣간 대신에 작은 항온기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2) 누에 연모

누에 치는 데 필요한 누에 연모에는 누에채반, 누에그물 등이 있다.






그 밖에 누에떨기 용구 (대젓가락, 깃털), 뽕썰기 용구(뽕칼, 뽕도마), 보온 용구(온풍기, 난로), 보습 용구(가습기) 온 습도 조절 용구(온 습도계), 뽕 따는 용구(낫, 전지가위, 뽕 수확기) 등이 있다.



3) 누에 품종의 선택





농가에서 양잠을 하는 데 있어서도 다른 농업과 마찬가지로 누에 품종의 선택이 중요하다. 우리 나라 농가에 장려되고 있는 누에 장려 품종은 현재 14 품종이 있다. 누에 장려 품종들 중에서 실제로 농가에 보급되고 있는 것은 봄누에 때 백옥잠, 가을누에 때 백옥잠, 사성잠이다. 이 밖에 칠보잠은 고치실 양이 적어 장려 품종은 아니지만, 몸체가 커서 누엣가루 생산용으로 봄누에, 가을누에 때 많이 보급되고 있다. 누에 장려 품종들 중에는 인공 사료를 잘 먹는 누에 품종, 무늬로 암수를 구별할 수 있는 한성누에 품종, 동충하초 생산에 알맞은 누에품종 등 특수한 누에 품종들이 있다.







누에치기 준비



1. 누에치기

누에되기는 누에병, 사료, 환경의 세 가지 요인에 의해서 좌우된다.

아무리 사료 가치가 큰 뽕잎을 먹이고, 누엣간의 환경을 알맞게 잘 조절하더라도 누에의 주위에 병원균이 만연되어 있으면, 누에되기가 불안정하게 되어 품질이 좋은 고치를 많이 생산할 수 없다.

따라서, 누에되기를 안정시키기위해 누에를 사육하기 전에 누엣간, 누에 연모의 소독을 철저히 하여 누에병을 예방해야 한다.




2. 양잠용 소독 약제의 종류와 그 사용법

양잠용 소독약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우리 나라 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은 포르말린, 클로르칼크, 과망간산칼륨 등이다.



1) 포르말린

로프말린은 포름알데히드(HCHO)가 35% 함유되어 있는 액체로서, 그 비중이 1.085 이다. 누엣간 소독에 사용되는 포르말린 농도는 2~3% 이므로 35% 포르말린을 물에 넣어 희석한다. 2% 포르말린을 만들려면 포르말린을 16배로 희석한다. 또, 3% 포르말린을 만들려면 포르말린을 11배로 희석한다.

누엣간에 2~3% 포르말린을 누엣간 평면적 3.3 ㎡ 에 3 L 를 분무 살포한 후, 누엣간 안의 온도를 25 ℃ 이상으로 하여 15~20시간 동안 밀폐한다.



2) 클로르칼크

클로르칼크(CaCl₂)는 유효 염소가 60% 이상 함유되어 있는 백색 가루이다. 클로르칼크는 분무 소독보다는 침지 소독이 효과가 크므로, 누엣간의 바닥을 물 청소를 할 때나 누에 연모의 침지 소독을 할 때에 사용된다. 누에 연모의 세척, 침지 소독을 할 때에는 클로르칼크는 200배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3) 과망간산칼륨, 포르말린 혼합액

이 소독 방법은 과망간산칼륨(KMnO₄)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포르말린과 혼합하면 즉시 하얀 포름알데히드가스가 발생하면서 포르말린 훈증 소독이 된다.

포르말린가스 소독이므로 누엣간이 밀폐되어야 소독 효과가 크다. 이 소독 방법은 누엣간의 보조적인 소독 방법이므로 누엣간의 2차 소독 때 사용되고 있다.









3. 누엣간, 누에 연모의 소독 작업 순서와 작업 내용



누엣간 및 누에 연모 소독은 누에떨기 2일 전까지 끝내야 한다.




출처 : 교육 인적 자원부/ 서울 대학교 농업 생명 과학 대학 국정 도서 편찬 위원회 / 누에와 비단


출처 블로그
건강전문쇼핑몰 바로가기


실크전문쇼핑몰 바로가기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