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9월 8일 화요일

누에고치-어떤 고치가 좋은고치인가?

어떤 고치가 좋은 고치인가?

1.누에고치

익은누에는 2일 동안 고치실을 토하여 고치를 짓는다. 고치의 모양은 타원형과 땅콩 모양으로, 흰색 이외에 황색과 녹색 등 여러 색깔의 고치가 있다. 고치는 고치층(22%~24%)과 그 속에 번데기(76~78%)및 누에가 번데기로 탈바꿈한 탈피 허물로 이루어져 잇고, 그 무게는 2.0~2.5g 정도이다.

실켜기에 의하여 고치에서 얻을 수 잇는 생실의 비율을 생실향 비율이라고 한다. 고치의 생실량 비율은 20~22%이다. 실제 실켜기의 경우, 고치층을 이루고 있는 고치실 모두를 생실로 만들기는 어렵고, 대체로 고치실 중에서 82~85%가 생실이 된다.





2.고치실

고치실은 천연 섬유 중에서 가장 가늘고 긴 섬유이다. 고치실은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2가닥의 피브로인과 이것을 둘러싸고 있는 세리신으로 되어 있다. 고치실의 길이와 굵기는 누에 품종, 누에 치는 환경 등에 따라서 차이가 있고, 같은 고치라도 그 굵기는 고치층의 각 부위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실켜기를 하는 경우, 고치 바깥층에서부터 안층에 이르기까지 고치실이 잘 풀리는 고치와 실켜기 중에 끊어지는 고치가 있다. 고치에서 절단 없이 풀려 나온 고치실 길이를 풀림새 길이라 한다. 그리고 고치1개의 길이에 대한 풀림새 길이를 고치실의 풀림새 비율이라 한다.




풀림새 비율은 실켜기 능률과 만들어진 생실의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치는 고치의 주요 성질이다.

고치실은 합성 섬유에서 볼 수 없는 여러 모양의 작은 마디가 생긴다. 마디가 발생하는 원인은 누에 품종에서 비롯되는 유전적인 요인과 고치 지을 때 고치실의 세리신 교착으로 발생하는 후천적인 요인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마디는 생실 내지는 비단 직물의 결점(라우지네스)이 된다.

이와 같이 고치의 품질은 고치 검사 성적으로 평가한다. 당연히 생실의 품질은 그 원료인 고치의 품질과 관계가 있다. 따라서, 좋은 누에 품종의 육성은 좋은 생실을 생산하는 기본이다.



3. 누에 이외의 다른 견사 곤충의 고치

누에 이외의 다른 견사 곤충의 고치는 모두 천적으로부터 종족을 보호하기 위해 특유의 색깔을 가지며, 고치 머리 부위에는 고치자루를 형성하여 나뭇가지에 고착시켜 고치를 짓는다.

참나무누에와 같은 견사 곤충의 고치가 갈색을 띠는 것은 타닌 때문이다. 고치실의 세리신은 집누에 고치실의 세리신에 비하여 잘 녹지 않는다. 하늘누에고치의 녹색 색소의 대부분은 수용성으로, 대체로 세리신에 함유되어 있으므로 정련 처리를 하면 탈색한다. 들누에고치 층의 구조를 보면 고치실 토사가 균일하지 못하며, 부위에 따라서 두께 차이가 생기고, 타닌이 함유되어 있어 삶은 후에도 고치실이 잘 풀리지 않는다.





-읽을 거리-



누에 이외에 섬유를 생산하는 동물은?



자연에는 누에 외에도 섬유를 함성하는 동물들이 있다. 거미도 그 한 종류로, 누에처럼 실을 토해 낸다. 그러나 누에와 달리 주로 먹이 사냥을 위하여 실(거미줄)을 토해 낸다.

거미가 토해 낸 거미줄도 비단(영어로 Silk)이라고 하지만, 누에의 비단처럼 의류로서 이용할 수는 없다, 그러나 거미줄은 강도와 신도가 매우 우수하며, 이론적으로 연필심 정도 굵기의 거미줄이면 날아가는 점보 비행기를 세울 수 있다고 한다.

누에와 거미가 어떻게 실을 만드는지는 아직도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자연의 신비는 아직도 비밀에 싸여있다.




출처 누에와 고치/교육 인적 자원부


실크 전문 쇼핑몰 바로가기
http://www.silkmall.co.kr/

건강 전문 쇼핑몰 바로가기
http://www.bioeshop.com/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