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9월 1일 화요일

고치를 짓는 견사 곤충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고치를 짓는 견사 곤충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견사 곤충이란 곤충 분류학상의 이름은 아니고, 실샘에서 비단 단백질을 합성하여 고치를 짓는 곤충들을 일반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견사곤충들 중에서 누에는 예부터 농가의 누엣간에서 치고 있어 집누에라고도 부르며, 누에 이외의 견사 곤충들은 들누에라고도 부른다.
견사 곤충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 중에서 산업적 가치가 큰 것은 누에, 하늘누에, 참나무누에, 아주까리누에 등이 있으며, 그 밖에 가죽나무누에, 무가누에,멧누에 등이 있다.

① 누에

누에는 곤충 분류학상 곤충강 나비목 누에나방과에 속하며, 멧누에와 가장 가까운 견사 곤충이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중국을 비롯해서 세계 여러 나라에서 누에고치를 생산, 이용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누에고치를 많이 생산, 이용하였으나, 근래 양잠 기반이 축소됨에 따라 누에고치는 거의 생산, 이용되지 않고, 그대신 누엣가루, 누에 동충하초를 생산, 이용하고 있다.
누에의 화성은 1화성,2화성,다화성이며, 알로 월동한다.
우리 나라 농가에서 치고 있는 누에는 2화성이다. 누에는 꾸지뽕나무 잎 등도 먹기는 하지만, 잘 먹지 않아 예부터 농가에서는 뽕나무 잎으로 치고 있으며, 근래에는 인공 사료로도 친다. 누에는 실내에서만 치고 있으며, 그 치는 일수는 25일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누에고치는 2.5g~2.5g 정도의 유백색이며, 의류, 스카프, 넥타이 등 비단 제품을 만다는 비단 직물의 원료로 이용하고 있다.


②하늘누에
하늘누에는 곤충강 나비목 하늘누에 나방과에 속하며,참나무누에와 가장 가까운 견사 곤충이다. 원산지는 일본이며, 일본에서만 하늘누에고치를 생산, 이용하고 있다.



하늘누에는 1화성이지만, 알에 항유약 호르몬 활성 물질을 처리하면 알의 휴면을 깨뜨릴 수 있으므로 1년에 여러 번 칠 수도 있다. 사료가 되는 식물로서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상수리나무,졸참나무,물참나무,신갈나무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상수리나무 잎을 가장 잘 먹는다. 일반적으로, 하늘누에는 야외에서 어느 정도의 보호,관리 상태에서 치고 있으며, 그 치는 일수는 42~52일 정도이다.
하늘누에고치는 7.3g(수컷 6.0g, 암컷 8.0g) 정도의 아름다운 녹색이며. 고급 하늘누에 비단 제품을 만드는 원료로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늘누에 비단은 누에 비단보다 값이 비싼 편이다.
우리 나라 농가에서는 하늘누에를 치고 있지 않지만, 하늘누에는 산업 가치가 크므로 우리 나라에서도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③참나무누에
참나무누에는 곤충강 나비목 하늘누에나방과에 속하며, 하늘누에와 가장 가까운 견사 곤충이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중국, 인도 등에서 참나무누에고치가 생산,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참나무누에의 화성은 2화성이며, 번데기로 월동한다. 사료가 되는 식물로서는 하늘누에와 마찬가지로 참나무과에 속하는 상수리나무,졸참나무,물참나무,신갈나무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 상수리나무 잎을 가장 잘 먹는다. 일반적으로, 참나무누에는 야외에서 어느 정도 보호,관리하여 치고 있으며, 그 치는 일수는 42~52일정도이다.
참나무 누에고치는 8.0g(수컷 7.9g,암컷8.2g) 정도의 갈색이며, 참나무누에 비단 제품을 만드는 원료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참나무누에 비단은 누에 비단보다 값이 싼 편이다.
우리 나라 농가에서는 참나무누에를 치고 있지 않지만, 참나무 누에는 산업적 가치가 큰 견사 곤충이므로 우리 나라에서도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④아주까리누에
아주까리누에는 곤충강 나비못 하늘누엑나방과에 속하며, 가죽나무 누에와 가장 가까운 견사 곤충이다. 원산지는 인도이며, 인도에서만 아주까리누에고치를 생산,이용하고 있다.
















아주까리누에의 화성은 다화성이므로, 1년에 5~6번 치고 있다. 사료가 되는 식물로서는 아주까리,가죽나무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아주까리 잎을 가장 잘 먹는다. 일반적으로, 아주까리누에는 실내에서 치며, 그 치는 일수는 20일 정도이다.
아주까리누에고치는 2.7~2.8g 정도이고 유백색이며, 보통 방직 원료로 이용되거나, 고치를 잘라서 양모, 면 대용품을 만드는데 이용된다.




⑤가죽나무누에
가죽나무누에는 곤충강 나비목 하늘누에나방과에 속하며, 아주까리 누에와 가장 가까운 견사 곤충이다. 가죽나무누에의 원산지는 중국이며, 중국을 비롯한 우리 나라 등에서 야생하고 있다. 가죽나무누에의 화성은 2화성이며, 번데기로 월동한다. 가죽나무누에의 사료가 되는 식물로서는 가죽나무, 아주까리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 가죽나무 잎을 가장 잘 먹는다.
가죽나무누에고치는 갈색의 방추형으로서, 실을 켤 수 없으므로 보통 방직 원료로 이용된다.




⑥무가누에
무가누에는 곤충강 나비목 하늘누에나방과에 속하는 견사 곤충이다. 원산지는 인도이며, 아삼 지방에 분포해있다. 무가누에의 화성은 다화성으로, 1년에 5~6번 치고 있다. 사료가 되는 식물로서는 후박나무류의 잎을 잘 먹으며, 참나무류의 잎도 먹는다.
무가누에고치는 아름다운 차갈색이며, 인도에서 대량 생산, 이용되고 있다.





⑦멧누에
멧누에는 곤충강 나비목 누에나방과에 속하며, 누에와 가장 가까운 견사 곤충이다. 멧누에의 원산지는 중국이며, 중국을 비롯한 우리 나라, 일본 등의 뽕밭에 야생하고 있다. 멧누에의 화성은 2화성이자만, 1년에 3세대를 가질 수도 있으며 알로 월동한다.
멧누에의 사료 식물은 누에와 마찬가지로 뽕나무이다. 멧누에고치는 산업적으로 전혀 이용되고 있지 않지만, 멧누에는 누에와 가장 가까운 견사 곤충이므로 곤층의 생물 공학과 관련해서 새로운 유전 자원으로서 그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






출처 : 교육인적자원부/서울 대학교 농업 생명 과학 대학 / 국정 도서 편찬 위원회/누에와 비단

전문쇼핑몰 바로가기




댓글 없음: